실패 위의 울부짖음
1부 1화 / 1940년대: 전쟁과 해방 속, 남자는 살아남아야 했고 여자는 침묵해야 했다
“남자는 살아남아야 했고,
여자는 침묵해야 했다”
"살아 있는 것만으로도
고마워해야 했던 시대가 있었다."
그게 1940년대다.
남자는 전쟁에 끌려가
죽지 않고 돌아오길 바랐고,
여자는 그저 조용히 살아남았다.
폭탄보다 무서운 건
‘침묵하라’는 명령이었다.
일본의 식민통치는
신체만 억압한 게 아니다.
여성의 말, 감정, 욕망조차
‘없었던 것’처럼 지워졌다.
당시 여성은 선택권이 없었다.
결혼은 거래였고,
출산은 국가를 위한 복무였다.
"딸 낳으면 죄인 같다."
그 말은 당시 현실이었다.
여자의 입은 닫혀 있었고,
남자의 귀는 전쟁 소리로 먹먹했다.
침묵은 순종이었고,
순종은 생존이었다.
"하지 마라, 말하지 마라,
나서지 마라."
이게 그들의 일상이었다.
남자는 전장으로,
여자는 침묵으로 보내졌다.
남성의 고통은 눈에 띄지만,
여성의 고통은 기록되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녀들은
'입을 열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 시절, 여성은
존재하되 발언하지 못했다.
살아있으나, 표현할 수 없었다.
이건 ‘약자’의 문제가 아니다.
이건 ‘역할’의 문제다.
이 시대가 말한 역할은
남자는 총을 들고,
여자는 그 총이 만든 빈자리를
채워야 한다는 강요였다.
이 침묵은, 지금도
여성들의 내면에 각인되어 있다.
우리는 이 시절을
‘과거’라고 말한다.
하지만 그 침묵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가정에서,
직장에서,
사회적 시선 속에서
아직도 여자는 조용하길 강요받는다.
그 말 못 했던 세대의 감정은
지금 세대의 눈치를 만든다.
"전쟁은 끝났는데
왜 여성의 침묵은 끝나지 않았을까?"
이 질문이
이 시리즈의 시작이다.
한 줄 요약
전쟁은 끝났지만,
여성의 침묵은 아직도 계속된다.
#여성역할 #여성의침묵 #1940년대한국
#부부역할 #역할의불균형 #시대별여성상
#감정유산 #역할의기원 #실패위의울부짖음